AI가 전기요금을 밀어올린다…데이터센터 수요·가스 가격·그리드 투자 ‘삼중 압력’

[서울=뉴스닻] 최승림 기자 = 전기요금이 팬데믹 이전 대비 가파르게 오르는 배경에 AI 데이터센터 수요가 새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. 미국 노동통계국에 따르면 2020년 2월 이후 전기요금은 40% 급등해 같은 기간 생활물가(26%) 상승을 웃돌았다. 천연가스 가격 상승과 노후 발전소 폐지, 송배전망 보강 투자에 더해, AI 붐을 뒷받침하는 대규모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가 겹치며 요금을 자극하고 있다.

수요 반등: EV·전기레인지·AI가 동시에 늘렸다

20여 년간 정체됐던 미국의 전력 수요는 최근 반등세다. 미 에너지부는 올해 2.2%, 내년 2.4%의 수요 증가를 전망한다. 전기차 보급과 가스레인지의 전기화, 그리고 AI 데이터센터가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. 전력업계는 풍력·태양광·가스 등 신규 설비와 송전망 투자를 병행하며 “가능한 많은 전자를 그리드에 올려 신뢰성과 비용을 동시에 잡겠다”고 밝혀왔다.

AI 전력, 누가 부담하나: 개발 인센티브 vs 원가 반영

향후 5년간 전원 확충과 그리드 회복력 강화를 위한 미국 내 투자액은 1조 달러 이상이 될 전망이다. 쟁점은 비용 배분이다. 원칙적으로 데이터센터는 자체 전력 비용과 그 이상을 부담해야 인근 가정용 요금을 낮출 수 있다. 그러나 일부 지역에선 “경제개발” 명목의 특혜 요금이 논의되며, 결과적으로 주거용 고객이 비용을 떠안을 위험이 있다. 통상 가정용 전기는 상업·공업용보다 높은 요금 체계를 적용받는다.

피크 억제 카드: 1년에 50~60시간만 ‘그리드 비우기’

전력비를 줄이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피크수요(순간 최대 수요)를 낮추는 것이다. 규제당국이 데이터센터에 한 해 50~60시간 정도만 백업발전으로 전환하거나, 트래픽을 더 시원한 지역으로 우회하도록 요구하면 추가 비용 압박을 크게 줄일 수 있다. 전기차 충전도 야간으로 분산하면 피크 부담 완화에 도움이 된다.

전력 수요 증가가 역사적으로 낯선 현상은 아니다. 1960년대 냉방 보급기에는 지금의 두 배가 넘는 속도로 수요가 늘었다. 다만 이번 사이클은 AI라는 고밀도 전력 수요원이 촉발점이라는 점에서 다르다. 데이터센터가 원가를 충실히 부담하고, 피크를 관리하며, 그리드 투자의 사회적 비용을 공정하게 나눌 수 있을지에 향후 전기요금의 방향이 달려 있다.

[저작권자 ⓒ 뉴스닻. 무단전재·재배포 금지]
최승림 기자 (seunglim.choi@newsdot.net)

Newsletter
디지털 시대, 새로운 정보를 받아보세요!